Replies: 3 comments 2 replies
-
우선 스터디 기여도라는 것은 스터디가 팀에 가한 기여도라고 이해했습니다. 하지만 해당 방법은 스터디 참여인원에 따라 랭킹이 결정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절대 기준 계산 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대 기준 계산을 하는 방법이 있을 것 같은데, 이 계산법과 기준에 대해서는 기획적인 부분이라고 생각하며, 백엔드에서 결정할 부분이 아닌 모두의 의견을 듣고 결정해야하는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
그렇네요 절대 기준으로 계산시 스터디 참여인원에 따른 랭킹 문제가 있을거란 생각은 미쳐못했습니다! 그러면 혹시 텃밭 테이블의 컬럼에 study_id를 추가하자는 부분은 동의가 된 사항일까요?👀 |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
논의 결과 Team Ranking과 정렬 규칙이 달라지는 사용자 입장에서 헷갈릴 수 있고, 팀 인원이 많은 것이 높은 랭킹에 도움이 되긴 하나 그만큼 스터디 진행도 힘들것이라는 의견이 있어 Team Ranking과 통일하기로 결정됐습니다. (2번 방식) |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
현재 텃밭 테이블의 필드는 위와 같습니다!
텃밭 테이블은 스터디/팀에 학습자료가 업로듸 되거나 스터디의 커리큘럼이 체크될때마다 생성됩니다.
현재는 팀의 텃밭 모델을 생성하고 일정 기간동안의 텃밭 데이터 개수를 총합하여 팀의 랭크를 구하는데 쓰이고 있습니다.
그러나 스터디 목록 조회를 개발하며 스터디 목록또한 랭킹순으로 정렬하는 편이 좋을 거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랭킹을 단순 스터디 진행률로 계산하면 편하겠지만 그보다는 이번주동안 이 스터디의 기여도를 계산하는 편이 좋겠다 생각합니다. (차후 BDD가 프로젝트에서 스터디로 방향성을 바꾸며, 두레를 스터디 관리용으로 사용할 가능성을 생각해보면 더욱)
이때 텃밭을 통해 스터디 기여도를 계산할 방법이 없습니다 (텃밭 데이터에서 이 데이터는 어느 스터디에서 왔는지 출처를 찾을 수 없습니다)
두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1. 그냥 커리큘럼 개수 + 업로드된 자료 계수를 직접 계산한다.
2. 텃밭 데이터에 study_id, is_from_study(is_team_contribution? 아무튼 스터디에서 기여한 데이터가 아니라 팀에서 기여된 데이터 (ex 팀에서 업로드한 학습자료) 컬럼 두개를 추가하여 garden에서 데이터를 가져온다.
솔직히 지금 상황만 따지면 1번도 괜찮긴 하나, 차후 스터디에서의 기여 방법이 curriculum check, 학습자료 업로드 외로 더 생길 경우 코드를 수정해야 하기에 2번 쪽을 생각하고 있습니다.
다른 분들의 의견이 궁금합니다!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All reactions